친환경쌀의 판로개척, 학교급식이 대안
상태바
친환경쌀의 판로개척, 학교급식이 대안
  • 전용식 기자
  • 승인 2008.05.28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동면은 오리농법이라는 친환경 농법을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곳이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농산물 개방 대책으로 친환경 농업을 권장하면서 홍동 친환경쌀은 위기는 시작됐다.
쌀농사의 경우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에겐 기존의 논농사 직접지불금을 추가로 지불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한 탓에 생산량이 확대돼 소비와 생산에 차질이 생긴 것.
이와 같은 위기에서 급기야 홍동농협은 판매가 되지 않을 경우 농가가 되가져가도록 하는 수탁방식을 혼용하여 적자폭 감소와 수급조절을 하고 있다. 홍동농협에서는 1마지기(200평)당 평균 수확량 9포대(포대당 40kg)를 기준으로 6:3 비율로 정했으며 수매가는 2005년 8만4000원까지 나갔던 것에 비해 10%이상 수매가가 떨어진 7만5000원으로 산정해 지급했다.
풀무생협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수매량이 2005년 2300톤에 비해 1500톤으로 감소되었고, 홍동면의 친환경쌀 인증 경작지는 2005년 277만평에서 작년에는 226만평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사정 외에 AI발생으로 홍동의 친환경쌀 농가들에게는 악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쌀의 대량 소비촉진 방안을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얻고 있다.
홍동농협 관계자는 “2006년도처럼 홍성군에서의 100% 학교급식과 유관기관 등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쌀 공급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사실 학교급식에 들어가는 친환경 농산물의 공급단가가 낮아 실제 수익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청과 교육청들이 차익보전을 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풀무생협 관계자는 “더 팔고 못 파는 문제가 아니다. 서울시는 학교급식 조례제정을 했다. 이 기회를 충분히 살려 우리는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며 “단순히 일부 학생들이 먹는 급식에 홍성군이 일부예산을 보조하는 정도로만 인식한다면 그 가치가 일부 공무원들이 생각하는 소모적인 가치에 불과하다. 이제는 인식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홍성군에서 친환경쌀의 소비를 일정량 책임져주고 홍동농협과 풀무생협 등의 업체에서 대외적인 홍보를 한다면 그 제품의 브랜드 가치는 홍성군민들의 것이될 수 있을 것”이라며 “홍성군수의 손에 의해 공인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관리되어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태평양 바닷가 원주민들이 진주의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듯이 우리 홍성군민들도 친환경쌀의 잠재적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그 가치를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가치는 달라질 것이고 홍성 지역경제의 10년을 책임져 줄 수도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초등학교 자모회 관계자는 “친환경쌀을 지자체에서 예산을 세워 공급해주는데 학부모들은 지역 생산자의 쌀을 왜 우리가 먹어야 하느냐의 근본이유에 대해 깊게 생각 않는 것 같다”며 “다행히 올해부터 친환경급식의 날이 한 달에 한번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으니 이 기회에 친환경 농산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