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회창 총재가 지난 26일 홍성사무소에서 축산인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유창균 홍성축협조합장, 홍성,예산 한우협회, 한우조합 등 9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재 가장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한우사업 활성화를 위한 한우수매’ 관련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홍성축산의 현황을 설명한 후 유창균 홍성축협조합장은 △생산농가의 경영안정화를 위한 수소(비거세)의 수매실시와 △음식점 및 정육점의 쇠고기 원산지표시 강력 지도 및 단속 △조사료의 자급율 향상을 위한 생산용 기계장비 지원과 사료작물 종자지원 확대 △사료값 안정화를 위한 기금 조성 △송아지 생산안정제의 평균거래가격 산정시 현실화 등을 건의했다.
특히 비거세의 수매실시에 대해 “수소 비거세우의 최저수매가를 6,500원에 수매해주면 암소가격도 올라갈 것이다”며 “이런 상황에서 비축해두면 학교급식이나 군납 등 소비촉진에 기여할 수도 있고 농가들의 불안 심리를 잠재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우협회 관계자는 “농가의 안정을 위해 그전처럼 한시적으로 몇 만 마리만 해 달라. 그동안 정부를 믿고 왔는데 이제는 생산비 이하까지 소값이 하락됐다”며 “정부의 마구잡이식 협상으로 이렇게 됐다. 고급육이 관건이란 건 우리도 인정한다. 하지만 이대로 한우농가가 망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한우조합 관계자는 “지금 소농가들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다”며 “대농가들은 어찌어찌하면 맞출수 있지만 시골에서 3~4마리 키우는 농가들은 시골노인들이라 어디 가서 하소연도 못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로 한우농가가 직격탄을 맞았는데 좀처럼 해결의 기미가 안 보인다”며 “수소 비거세 수매의 정부 입장은 앞으로 육질로 승부를 걸어야 하기 때문에 비거세 수를 줄여야 한다고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고 말한 다음 “다른 안건들은 가능하겠지만 비거세 수매 문제는 매우 힘든 문제다. 나도 답답하다. 하지만 당 차원에서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