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달 9일 발표한 전국 234개 자치단체에 대한 낙후도 평가 결과 대전지역에서는 대전 서구가 33위, 충남지역에서는 천안이 63위로 조사됐다. 대전·충남 대부분 자치단체들이 100위권 중반의 낙후지역으로 분석됐고, 홍성군은 151위를 차지했다.
이는 대전(3개구)·충남(16개 시군)지역 만을 두고 비교 평가할 때 20개 시군구에서 13위로 전국적으로 비교할 때 여전히 낙후지역으로 조사됐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따르면 전국에서 가장 낙후도가 적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였고 경북 영양군이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지난 2003년 전국 지자체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거쳐 낙후도를 평가한 결과로 후순위 지역이 낙후도가 높다. 전국 234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전국 33위를 차지한 대전 서구가 가장 잘사는 지역이었고 청양군이 212위로 가장 낙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147), 공주(148), 보령(153), 태안(155), 계룡(159), 서천(161), 부여(165), 금산(176) 등 홍성지역 인근 8개 시군이 중하위권을 기록했다. 충청도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청주가 전국 23위를 기록했다.
이들 순위는 최근 재정경제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따른 분류로서 평가항목이 다소 달라지는데다 그동안 지표도 변했기 때문에 순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이처럼 전국 자치단체의 낙후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자 정부는 전국 234개 기초자치단체를 지역 낙후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 내년부터 이들 지역의 기존 중소기업이나 새로 이전하는 수도권 기업, 창업하는 기업 등은 수도권에서 가장 낙후도가 심한 4그룹으로 이전하면 법인ㆍ소득세를 70%, 3그룹은 50%, 2그룹은 30%를 각각 감면해줄 계획이다.
아울러 대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최초 10년간 1그룹은 70%, 2그룹 50%, 3그룹은 30%를 감면받고 이후 5년간은 그 절반인 35%, 25%, 15%를 각각 감면받도록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