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방역은 '뒷전' 해외여행은 '앞장'
상태바
구제역 방역은 '뒷전' 해외여행은 '앞장'
  • 이은성 기자
  • 승인 2011.01.28 1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업자 하루 50여명 국외여행, 골프관광 등 '빈축'

구제역은 갈수록 태산이다. 이중 삼중 방어막을 뚫고 경남지역까지 확산된 가운데 충남지역에서도 예산, 공주 등 홍성을 둘러싼 지역에서 계속 터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 제일의 축산군인 홍성은 구제역으로부터 완전포위 됐다. 구제역에서 홍성을 지키기 위해 차단방역과 백신접종 등 모든 것을 동원하고 있지만 살얼음판을 걷듯 아슬아슬하다. 전국에 불어 닥친 구제역으로 살 처분된 매몰가축만도 300만 마리를 육박하고 있다. 살처분 보상금으로 무려 1조5000여억원이 투입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고스란히 국민의 세금이다. 문제는 구제역이 언제까지 갈 것이냐다. 결국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격'이다.

이런 가운데 하루 평균 50~60명의 축산업 종사자들이 국외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나타나 축산업자들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국외여행을 다녀와 공항에서 검역․소독조치를 받은 축산 관계자는 하루 평균 55명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방역 당국은 지난 7일부터 축산 농장주와 수의사 등 등록된 축산업 관계자들이 입국하면 신고서를 받고 소독을 하고 있다. 입국한 축산관계자 수는 18일 60명에서 19일 40명으로 줄었지만 20일 51명, 21일 60명으로 늘었다. 또 22일에는 54명, 23일에는 67명, 구제역이 청정지역 경남까지 퍼진 24일에는 54명이 여행을 갔다 돌아온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행선지는 주로 구제역 위험지역인 중국(17.8%)과 태국(13.7%), 필리핀(11.1%), 베트남(8.0%) 등 동남아 국가로 나타났다.

이번 구제역이 베트남에 갔다 온 농장주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돼 정부가 대국민 홍보를 통해 축산업계에 국외여행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지만 일부 축산업 종사자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구제역 위험국가 여행을 서슴지 않은 셈이다.

홍성 일부 축산인, 국외 골프관광 '빈축'
전국 최대 규모의 축산단지인 홍성은 구제역에 완전 포위된 채 차단방역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홍성은 군민들 모두가 노심초사하고 있는 가운데 민ㆍ관ㆍ군ㆍ경이 하나로 뭉쳐 구제역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방역에 혼신을 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구제역 유입 차단을 위해 군내 주요 진입도로에 방역초소를 설치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설 명절을 앞두고 이번 설에는 고향방문을 자제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연말연시 대부분의 행사를 취소하고, 일부 축산농가나 마을주민들은 한 달 이상 외부출입을 삼가며 마을의 구제역 차단에 모든 고통을 감수하고 있다. 하지만 구제역 발생 이후 일부 축산인들이 포함된 골프동호인들이 국외 구제역 해당 국가로 골프관광을 다녀온 것이 알려지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축산업, 소농(小農)은 죽고 대농(大農)은 산다
이와 관련 주민들은 "구제역을 차단하려면 누구보다 농장주가 철저히 농장을 방역하고 소독해야 한다"며 "축산인들이 해외 골프여행 등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은 한마디로 대부분 축산대농(大農)들 이다. 소 몇 마리 돼지 몇 마리 기르는 소농(小農)들만 죽는 꼴"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조금이니, 지원금이니 하는 돈들도 거의 독식하면서 매몰보상금만 받아도 수십억원에서 백억원 대를 넘는데 구제역엔들 무슨 관심이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구제역이 종식되면 그동안 이를 방치하거나 확산한 책임이 있는 축산농가에 대해서는 보상금 지급이나 정부나 지자체의 각종 지원 등에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반드시 제도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현재로선 정부가 구제역을 막는데 급급한 실정이고, 미처 확산의 책임을 따질 겨를도 없이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매몰되는 가축은 시가의 100%를 그대로 보상하고 있다. 심지어 지난해 11월 베트남으로 해외여행을 다녀와 경북 안동에 구제역을 옮긴 것으로 알려진 농장주도 한우 매몰 보상금으로 105억6000만원, 생계안정자금으로 1400만원을 받게 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농장주는 형제들과 안동 일대에서 소 농장을 운영하는데 형제들과 받게 될 보상금을 합하면 18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함께 베트남에 다녀온 안동의 또 다른 돼지농장주도 보상금으로 53억6000만원을 책정 받아 26억8000만원을 이미 수령했고, 생계안정자금 1400만원도 챙길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가 현재까지 축산농가에 지출할 가축매몰 보상금은 1조4000억원에 달하지만 확보된 예산은 9000억원 밖에 없어 예비비를 끌어 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국가의 재앙이지만 인재로 확인된 구제역을 국민의 세금으로 해결하는 셈이다. 결과적으로 축산업의 경우 '소농(小農)은 죽고 대농(大農)은 산다'는 주민들의 비아냥 섞인 탄식이 지금농촌의 현실이며, 소농(小農)의 축산 농민들이 가슴을 치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