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의 핵심정책 지역브랜딩이 경쟁력, ‘서까래는 많이 펼쳐 놓는데 기둥이 없다’
상태바
홍성의 핵심정책 지역브랜딩이 경쟁력, ‘서까래는 많이 펼쳐 놓는데 기둥이 없다’
  • 한기원 기자
  • 승인 2023.09.21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컬에서 기회와 가능성 발굴할 수 있는 대안·정책·기회 찾아야
지난 8월 말 내포신도시 인구 3만 4229명, 홍성군 9만 7062명
홍성, 전략적 핵심정책·발전적 지역개발 “기둥이 없다” 지적해

인구소멸 시대, 이제 지역소멸은 위기 단계를 넘어 현실이 됐다. 낭만적인 대안이나 정치적인 수사를 찾을 때는 이미 지났다. 이제 낯선 지역이 ‘나의 동네’가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래서 지금 로컬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대안이 아니라 로컬 중심으로 비즈니스가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로컬에서 기회와 가능성을 발굴할 수 있는 대안과 정책, 기회를 찾아야 하는 이유다. 지역 문제를 기반으로 한 정책과 대안이 지역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다는 얘기다. 지역소멸시대, 특히 원도심 등의 버려진 공간을 되살려 새롭고 신선한 상권을 형성하고, 지역의 새로운 매력을 알리는 데 앞장서야 한다는 당위성이다.

부동산의 가치 변동 등 로컬에서 보면 여러 가지 변수가 있다. 결국은 커뮤니티에 대한 안정감을 느껴야 사람들이 찾아오고 또 알려지면서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심 역할을 해주는 핵심 정책이나 지역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핵심적인 정책이나 자기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느냐, 없느냐가 로컬 비즈니스에서는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지역이나 주민들이 불편해하는 점, 필요로 하는 점을 비즈니스화하는 것도 좋은 까닭이다.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이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로컬브랜드 육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지역의 주민들이나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파악하고 차별화된 전략으로 다가가는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지역의 발전이나 지역 상권의 활성화 정책을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전통적인 경제 논리를 뛰어넘어 핵심적인 정책 방향을 새롭고 신선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사람들이 몰리기 때문이다.

충청남도청 소재지 도시인 홍성의 경우, 지난 2012년 말부터 충남도청 등 충남의 행정기관이 옮겨오기 시작한지도 벌써 10년의 세월이 흘렀다. 하지만 뚜렷한 변화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의 문제라는 지적이다.

인구만 놓고 보더라도 더디기는 마찬가지다. 충남도청신도시를 건설하면서 내세웠던 인구는 지난 2020년까지 목표인구가 10만 명이었다. 하지만 2023년 9월 현재 3분의 1 수준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내포신도시의 인구는 3만 422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말 3만 3684명에 비해 545명 증가한 규모다. 내포신도시 출범 첫해인 2012년 말 인구는 509명에서 시작돼 2015년 말 1만 950명, 2016년 말 2만 162명으로 급증했다. 이후 2017년부터 5년여 동안 2만 명대를 유지하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다 지난해 7∼10월 5개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10월에는 3만 338명으로 3만 명을 돌파했다. 올해 들어서는 3만 1703명으로 출발해 지난달까지 2526명이 증가했다. 지난달 말 내포신도시 인구를 행정구역별로 보면, 홍북읍(신경리) 2만 5970명, 삽교읍(목리) 8259명으로 나타났다.

홍성군의 인구도 지난 8월 말 기준 9만 7062명으로 여전히 10만 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제 지역소멸 문제는 국가적 과제이다. 지역소멸에 대한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이제 과감하게 지방정부에게 권한과 예산을 넘겨주어야 한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며, 그래야만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로컬은 지역이 가진 특성과 매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브랜드로 만들어내야 한다. 로컬 브랜딩이 필요한 이유다. 지역만의 특색을 살려 활력을 유지하는 이른바 ‘로컬 브랜딩’으로 생활인구를 유입하는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홍성군의 민선 8기 주요 현안과 역점사업을 살펴보면 한마디로 ‘서까래만 많고 기둥이 없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한다. 140건의 나열된 대상 사업을 살펴볼 때 “그렇다”는 말이 저절로 따라 붙는다. 거의 대다수는 군정에서 주민들의 편익이나 지역개발 차원에서 당연히 일상적으로 추진하거나 해결해야 할 사업들이다. 전략적 핵심 정책이나 발전지향적 지역개발 계획 등에서 ‘기둥은 보이지 않고 서까래만 펼쳐 놓은’듯한 ‘현안·역점사업 보고서’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이 중에는 군민들이 10년 이상 속아온 ‘홍성군의 시 전환 추진’은 홍성군만의 의지나 몇 사람 정치인들의 구호만으로 될 일이 아니다. 전략적이고 전술적인 ‘정책이 전무 하다’며, ‘하나를 하더라도 제대로 확실하게 해야 한다’는 군민들의 여론에 주목해야 할 때이다.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고려해 충분한 연구와 투자를 통한 지역의 발전을 이끌면서 지역의 브랜드로 개발한다면 지역주민들에게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이중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홍성군의 현실은 다른 지자체와의 경쟁과 전략·정책적 측면에서 모두 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과감하게 보완하거나 교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