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전망… 기대 커져
7월 중순 집중호우로 충남지역 곳곳에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홍성군과 예산군은 피해 규모가 크고 복구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두 지역의 피해 집계와 진행 중인 복구 현황을 홍성군과 예산군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충남도의 피해 지원 현황과 향후 계획을 함께 살펴본다.<편집자주>
[홍주일보 김영정 기자] 홍성군,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기대
홍성군은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집계된 피해 건수가 3764건, 피해액이 326억 원으로 집계됐다. 공공시설 피해는 362건에 275억 원, 사유시설 피해는 3402건에 50억 원에 달한다. 특히 산사태 18건이 32ha에 이르는 등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산림과 토사 유출 피해가 큰 점이 두드러진다. 농작물 침수 2607건(1182ha), 농경지 피해 383건, 주택 침수 33건, 소상공인 피해 41건, 축사와 가축 피해도 포함돼 있다.
복구 작업은 상대적으로 인력과 장비 규모가 적음에도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총 3730명(공무원 1138명, 민간 2592명)과 장비 488대가 투입돼 응급복구 완료율은 84.9%에 이른다. 산사태 피해복구가 중요한 과제로 꼽히며, 구호 물품 지원도 컵라면, 쌀국수,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지역 내 자원봉사단체와 여러 기관의 협력으로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되고 있어 피해 주민 지원에 힘을 보태고 있다.
예산군,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
예산군은 지난 집중호우로 8584건, 피해액 861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공공시설 피해만 해도 379건에 483억 원에 달하고, 도로 16km, 교량 1020개, 하천 1만 2942m, 수리시설 5913m에 이르는 피해가 확인됐다. 사유시설 피해는 8205건, 378억 원으로 주택, 농경지, 비닐하우스, 축사 등 전반적인 시설 피해가 광범위하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613세대 1183명이 이재민으로 집계됐다.
복구 작업에는 대규모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고 있다. 총 1만 786명(공무원 3066명, 군부대 인력 1478명 등)과 2081대의 장비가 투입돼 지난 28일 기준 응급복구율은 전체 70.6%(공공시설 72.3%, 사유시설 29%)를 기록했다. 이재민 안전 확보를 위한 의료와 심리지원, 방역 소독 작업도 병행하는 등 종합적인 복구와 지원 활동이 진행 중이다.
충남도, 8월 중 특별지원금 지급 예정
충남도는 지난 27일 기준 도내 총 피해 규모가 3664억 원이며, 공공시설 피해가 2555억 원, 사유시설 피해가 1109억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행정안전부 중앙합동조사단이 다음달 2일까지 현장조사를 완료하면 피해 규모가 확정되고, 8월 중 신속한 피해복구와 도민의 일상 회복 지원을 목적으로 도 자체 특별지원금을 우선 지급할 예정이다.
지원 분야는 주택, 농업, 축산, 소상공인으로 나뉘며, 정부 지원금에 지방비를 보태 실질적인 복구 효과를 높힐 방침이다. △주택 피해는 전파 시 최대 1억 1950만 원, 반파 시 최대 6000만 원까지 지원하며 △농업 영역에서는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무보험 농가에 대해서는 보험가입 농가의 보험금 대비 70% 수준으로 특별 지원할 방침이며, 보험에 가입할 수 없는 시설작물 재배 농가도 보험금의 100% 수준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축산 분야에는 폐사축 처리비 4억 4000만 원이 긴급 지원되고, 농가별 최대 2억 원 무담보 특례보증도 실시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에게는 정부지원금 300만 원에 지방비 600만 원을 더해 총 900만 원이 지급된다. 금융지원도 전통시장과 중소기업에 대해 저금리 및 고정금리 융자가 확대된다.
현재 응급복구는 전체 7041건 중 5614건이 완료돼 79.7%의 복구율을 기록 중이며, 총 3만 7126명의 자원봉사단과 의용소방대, 군인, 공무원 등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피해 주민 중 1515세대 2391명이 일시 대피했으며, 아직까지 221세대 349명은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충남도는 구호물품 15만 개와 급식 1만 3000인분을 지원해 대피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주택 파손 가구 81세대에는 공공임대주택과 조립식 주택을 제공해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8곳의 심리회복센터를 운영해 주민들의 정신적 회복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예산군 덕산면에는 지난 22일부터 피해자 통합지원센터가 설치돼 융자, 보험, 법률, 복구자금 등 피해 주민들의 다양한 수요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한편,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해 예산군은 지난 22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지난 28일 기자회견에서 박정주 부지사는 “다수의 시군이 피해 기준을 상회하고 있고 기준에 미달하는 시군의 경우 읍·면 단위 피해를 기준으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게 조속한 지정을 재차 요청했고, 곧 지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