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취재현장에서 본 사회복지직 공무원과 민간 사회복지사들의 실상은 참담했다. 폭행에 가까운 폭언, 수치심이 들 정도의 성추행, 본인이나 가족 목숨을 담보로 한 협박에 시달리면서도 어렵게 살아가는 사람한테 당하는 일이라 말도 못하고 냉가슴만 앓고 있었다.
이들은 공공부조와 장애연금, 기초노령연금 등 바우처 사업을 비롯 엄청난 양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육·양육수당 및 교육비 지원 등 신규 복지사업이 추가되면서 업무는 더욱 폭증했다. 가히 살인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이 죽어나가는데 '복지'라는 말만 들어가면 무조건 복지직 공무원에게 시킨다"고 개탄할 정도다.
'사람'의 일을 다루는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에게 감정노동은 피할 수 없다. 외견상 친절과 미소로 민원인을 대하고 있지만 과중한 업무에 이미 파김치가 된 그들의 속마음도 그럴지는 모를 일이다.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잇단 죽음을 계기로 처우개선 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는 일회성 관심으로 끝나지 않고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제대로 된 정책이 마련됐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