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센터 연계망 구축 등
각종 정책개발 단계적 추진
충남도내 각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간 연계망을 구축하고 종합 조정 기능을 수행하게 될 광역급식지원센터가 첫 발을 뗐다. 도에 따르면 지난 16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안희정 지사와 운영위원회 위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급식지원센터 출범식을 개최했다.
광역급식지원센터는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체계적인 급식 정책 수행, 무상급식 실시에 맞춘 정책개발 및 모니터링, 식재료 유통·관리 지원, 시·군 센터간 연계망 구축 필요성 등에 따라 마련됐다. 단계별 주요 역할은 내년까지 1단계로 학교급식 정책 시행을 위한 기획 및 전략 개발, 급식 실태 파악 및 중장기 학교급식 지원계획 수립,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운영 지원, 전반적 업무 매뉴얼 제작 등을 추진한다.
2015년 2단계에는 시·학교급식지원센터간 품목별 수급 조정과 로컬푸드 체계 구축 방안 마련, 지역 농업 연계형 식생활 교육 추진계획 수립 등을 실시한다. 3단계인 2016년 이후에는 친환경 무상급식 정책 완성을 위한 종합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며 공공·시설급식, 식품지원 관리 및 공급, 도내 농산물 수도권 공급사업 지원 로컬푸드 시장 확대 등을 위한 사업을 중점적으로 펼친다.
광역급식지원센터는 센터장과 운영위원회, 사무국, 분야별위원회, 실무협의회 등으로 구성됐다. 안희정 지사는 "광역급식지원센터는 무상급식이 확대되면서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체계적인 급식 정책 추진을 위한 기구 설립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됨에 따라 설치하게 됐다"며 "앞으로 학생과 학부모, 농가에 도움이 되고 지역 순환 유통구조가 확산될 수 있도록 광역급식지원센터가 정책 개발과 모니터링,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총괄 지원·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