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단체들“방대한 식재료 관리 인력 필요”
우수한 식재료를 학교급식에 공급하기 위해 추진 중인 로컬푸드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센터장 없이 운영될 전망이어서 급식관련 시민사회단체 일각에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군 관계자와 급식센터 관계자 등에 따르면 홍성군은 당초 로컬푸드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을 위해 급식센터를 군 직영으로 두고 운영을 총괄하는 센터장과 실무직 1명을 고용해 운영키로 했다.
군은 그러나 최근 인건비 등의 이유를 내세워 센터장을 선임하지 않고 운영하는 방향으로 갑자기 방침을 바꿨다는 것.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급식센터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특히 군이 지난달 27일 입법예고한 조례에는 급식지원센터장이 급식센터 위원회의 당연직 위원으로 명시돼 있으며 지원센터 운영의 총괄과 대외협력업무 추진을 위한 학교급식지원센터장을 둘 수 있게 돼 있다.
지역의 학교급식운동 관련 단체의 관계자는 “연간 계약재배 등 각종 급식 계획을 비롯해 교육청, 학교 등 급식관련 주체들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센터를 총괄할 센터장이 필요하다”며 “학교급식에 들어가는 식재료 관리만 하더라도 방대한 일인데 부족한 인력으로 차질을 빚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군 직영으로 운영하는 시설인 만큼 외부인력을 채용하기보다 내부 인력을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며 “급식센터 담당 군 직원도 있고 센터 실무자를 채용한 만큼 운영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학교급식지원센터는 민․관 협력 거버넌스 형태로 군 직영으로 운영하며 친환경농업인연합회, 작목반 등 지역의 생산자와 계약재배를 통해 관내 학교급식에 지역의 우수한 농산물을 90% 이상 공급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