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뒷받침하다 지방재정 휘청
상태바
정부 정책 뒷받침하다 지방재정 휘청
  • 이석호 기자
  • 승인 2014.04.03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비 지출 급증·세제 감면 확대 영향 파산 위기
자주재원 확충 위해 부가세 20% 이상 이양 촉구

영유아 무상보육료 등 복지비 지출이 확대된 반면 취득세 세율인하 등으로 지방세 수입은 되레 줄어 지방재정이 휘청대고 있다.
충남도는 부가가치세의 20% 이상을 지방소비세로 지자체에 이양해 자치단체 파산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도에 따르면 지방소비세는 지방의 자주재원 확충을 위해 지난 2009년 9월 마련한 ‘지방재정 지원제도 개편방안’에 따라 2010년 신설된 세목이다.
2010년부터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5%를 지방세로 이양하고 3년 뒤인 2013년부터 5%를 더 늘려 모두 10% 규모의 부가가치세를 지방세로 돌리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0년부터 부가가치세의 5%(2010년 기준 1800억원)를 지방소비세로 이양했으나 지난해는 10% 확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정부는 올해부터 당초 계획보다 1% 많은 11%를 지방세로 이양하고 있다.
문제는 복지비 지출 증대 등 정부 정책에 따른 지출은 늘어난 반면 수입은 줄면서 지방소비세 전체를 새로운 세입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해 영유아 무상보육을 전면 시행하고 올해 7월부터는 기초노령연금과 장애인연금·기초생활보장 등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도가 올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영유아 무상보육료 356억원, 기초노령연금 133억원, 장애인연금 31억원, 기초생활보장 169억원 등 모두 689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반면 지난해 취득세 감면 연장(1만 9919건)과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감면(6919건), 주택 취득세율 영구인하(1만 1972건) 등으로 감소한 지방세는 833억원에 달하고 있지만 연말까지 보전된 금액은 414억원에 그치고 있다.
현재처럼 부가가치세의 11%가 지방세로 이양되더라도 취득세율 인하에 따른 보전액에 그칠 뿐 지방이 쓸 수 있는 세수는 늘어난 것이 아닌 셈이다.
충남도는 이에 따라 과세 자주권을 확립하고 지방 자주재원 확충 등을 위해 지방소비세 규모를 부가가치세의 20%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럴 경우 도의 세수는 연간 5400억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이같은 방안을 정부 관련 부처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갈 계획이다.
김기승 도 세정과장은 “현재 국세와 지방세 비율은 각각 79%와 21%로, 국세 비중이 훨씬 커 지자체 스스로의 힘으로는 어떤 일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비정상’적인 구조를 ‘정상화’ 하기 위해서는 국세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하고, 현재 부가가치세의 11%인 지방소비세 세율을 20% 이상 인상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