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의견 수렴·심의 의결
2018년까지 최종 입지선정
군청사 이전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 된다. 군은 지난 14일 군청 대강당에서 ‘홍성군 청사입지 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군은 50명의 선정위원을 위촉하고 선정위는 회의를 통해 위원장에 이범화 위원장, 부위원장에 이무형 부위원장을 추대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선정위는 지난해 제정된 ‘홍성군 청사입지 선정위원회 운영조례’에 따라 위촉된 것으로 전문가 8명을 비롯해 도의원, 군의원, 군청 공무원, 읍·면 추천 11명 등으로 구성됐으며, 입지 선정 완료시까지 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선정위는 후보지 추천 기준과 입지평가기준, 입지선정, 군민 여론수렴과 그 밖의 주요사항에 대한 심의 의결 등 최종 입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군은 주민 의견을 수렴해 2018년까지 입지를 선정한 뒤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2005년부터 매년 20억원의 신청사 건립부지 매입비를 마련해 온 군은 지난 달까지 청사 신축기금 265억원을 조성했다. 군은 토지가격 상승에 대한 대책으로 우선적으로 입지를 선정한다는 계획으로 청사 신축기금을 활용해 3만3000~6만6000㎡의 부지를 내년 6월까지 발굴 및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2018년 착공해 2020년 준공, 2021년에 입주한다는 로드맵을 밝혔다. 청사규모는 주차장 등 부대시설 면적을 제외하고 건축면적은 1만1193㎡(3385평)이지만 군의 인구 및 시승격 여부에 따라 구체적인 규모가 정해질 전망이다. 본청 청사의 기준면적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시행령 제95조 2항 1호에 따라 인구 5~10만명 미만 9406㎡, 인구 10~15만명 미만 1만1829㎡이다.
한편, 홍성군청사는 작은 조선총독부라 불릴 만큼 일제가 조선인의 민족정기를 말살하고 수탈을 자행하던 근거지로 사용됐던 뼈아픈 역사의 교훈을 담고 있다. 일제는 1918년 홍주관아의 부속건물인 내삼문을 헐고 동헌인 안회당을 막아 정기를 차단하기 위해 지금의 군청건물을 세웠다. 이후 1966년 12월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며 전소됐고, 잔재 청산의 기회를 맞았으나 다시 철근콘크리트 청사를 재건하는 우를 범했다. 군청사 이전은 이 같은 역사를 배경으로 1970년대부터 여론이 형성됐으며, 1997년 5월 부지 2만2000평과 연건평 3300평 규모의 군청 이전계획을 처음 발표한 적이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200억원의 비용을 들여 2000년까지 토지매입, 2001년 착공, 2002년까지 준공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민선 군수가 바뀌며 계획은 전혀 시행되지 않았고 홍주성복원계획에 맞물려 다시 군청사 이전이 화두로 급부상하며 본격적인 군청사 이전계획은 2004년부터 시작됐다. 2014년 군은 돌연 군청사 이전을 전면 백지화 했다. 홍주성 내에 있는 기관이 이전한 상태에서 군청사 마저 이전하게 된다면 원도심 공동화가 심각해진다는 것이 김석환 군수의 입장이었다. 2015년 9월, 지역의 최대 현안으로 급부상한 군청사 이전에 대해 군은 기존 입장을 변경해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겠다며 주민의견 수렴을 통해 이전 장소를 결정하겠다고 밝혔고 이번선정위원회를 출범시키게 된 것이다.
김석환 군수는 “군청사는 단순 사무공간이 아닌 도청 수부도시로서 홍성의 정체성이자 상징”이라며 “신청사 부지는 모든 군민이 공감하고 후세에도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평가를 받아야 하는 만큼 홍성의 미래를 내다보는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폭넓은 의견 수렴과 신중한 판단을 통해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왜냐하면 그냥이대로는 홍주성복원사업이 효과가 없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