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전염병, 사전 예방방역 강화해야
상태바
가축전염병, 사전 예방방역 강화해야
  • 이종순 기자
  • 승인 2011.01.07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가축전염병 공포가 신묘년까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구제역에 이어 12월에는 조류인플루엔자까지 덮쳤다. 정부와 농․축산인들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써야 좋을지 갈팡질팡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구제역과 달리 조류인플루엔자는 확실한 인수 공통전염병이다. 하지만 인체에 얼마나 치명상과 피해를 주느냐와 관계없이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전염병은 우리가 경계해야 할 위험요소로 등장한 것은 분명하다. 또한 구제역이 짧은 기간에 전국에서 기승을 부리는 원인도 철저하게 파악해야 한다. 축산분뇨 처리차량이나 업자, 가축거래상 등이 바이러스를 전파하지는 않았는지, 또 역학조사를 한 수의사나 관료, 매몰처분 등을 한 작업자와 차량 등이 다른 지역을 다니면서 전파하지는 않았는지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 전염병은 가축에서 생기든, 사람에서 생기든 자연재해이며, 동시에 인공재해이다. 구제역과 같은 가축 전염병도 피해가 크면 국민들은 󰡐정부󰡑 탓을 하는 이유가 여기에서 연유한다.

방역당국이 구제역 확산 저지에 사실상 실패하면서 방역 강화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제역 확산저지의 실패원인으로 방역당국의 안이한 초기대응과 󰡐사후약방문󰡑식의 방역시스템을 꼽고 있다. 가축전염병은 사전 예방과 차단이 필수적이라는 교훈을 주는 대목이다. 더불어 축산인들 스스로 자초한 측면도 반성할 일이다. 정부나 지자체에 축산업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면서도 실제로 필요한 방역시스템 등은 갖추지 않고, 일이 터지면 정부나 지자체만 쳐다보는 형국이다. 아무튼 사전 예방과 차단방역, 해외여행 자제 등 축산인들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현재 구제역 병원체는 특정 환경에서 공기를 타고 10㎞~60㎞까지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국 제일의 축산군을 내세우던 홍성축산도 위기다. 이웃 보령시에서 예방차원의 살처분을 하고, 경북에서 경기북부로 옮겨 붙을 당시 홍성축산은 이미 구제역 비상사태에 처했다. 사전예방을 위한 방역인력과 장비, 소독물자의 확충, 축산인들을 위한 교육강화, 주민들의 협조가 절실한 가운데 평소 방역시스템 가동이 필수적이다.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요인을 원천적으로 막는 차단방역에 철저해야 한다. 또 평소에 축사를 얼마나 위생적으로 관리하느냐가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을 막는 핵심이다. 축산농가들이 자체 방역차량과 시설을 갖추고, 축사주변 등을 매일 소독해야 한다. 전염병으로 인한 손실 보상보다는 전염병 예방에 선제적으로 투자, 축산농가의 방역시설 지원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 구제역 예방의 최후수단인 백신접종에 들어갔지만 축산농가의 고민은 더해가고 있다. 지금 홍성축산의 현실은 사면초가다. 공무원들이 구제역 비상근무 중 과로로 쓰러지는 일도 안타깝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