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와 진보 논쟁의 허구
상태바
보수와 진보 논쟁의 허구
  • 최철수(전 천수한의원 원장)
  • 승인 2011.08.04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수와 진보는 정치적 개념이다. 보수는 현재 중심적 개념이고 진보는 미래지향적 개념이다. 보수가 부동(不動)의 개념이라면 진보는 동(動)의 개념이다. 보수를 우익이라 하고 진보를 좌익이라 한다.

보수가 오른발이라 한다면 진보는 왼발이라 할 수 있다. 정지한 발은 보수이고 앞으로 내미는 발은 진보이다. 어제의 진보는 오늘의 보수가 되며 오늘의 보수를 바탕으로 내일의 진보가 이루어진다.

보수는 능률과 향상을 지향하고 진보는 평등과 평화를 지향한다. 보수는 현실주의이고 진보는 이상주의이다. 현재는 확실하고 미래는 불확실하다. 따라서 보수는 안정적이고 진보는 불안정하다. 보수는 기득권과 기존 질서에 집착하는 편이고 진보는 기득권과 기존 질서에 집착하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보수는 이기적인 것으로 진보는 이타적인 것으로 오인될 수도 있고 보수는 탐욕적 이고 진보는 양심적인 것으로 오인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진정한 보수에도 양심이 있고 사이비 진보에도 비양심이 있다. 현재 없는 미래는 없고 미래 없는 현재도 없듯이 보수 없는 진보도 없고 진보 없는 보수도 없다. 진보든 보수든 극단적이거나 오래되면 폐단이 생긴다.

왼발 오른발을 교대로 내밀면서 앞으로 나아가듯이 진보와 보수를 반복하면서 인류의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좌우 이념의 한쪽에만 집착하여서는 발전이 없다.

정치인에 대한 판단의 기준은 좌우의 이념이 아니라 오직 그가 양심적인가? 비양심적인가? 정직한가? 거짓인가? 진실인가? 허위인가? 에 두어야 한다.

오늘 한국에서의 정치문제는 엄밀히 말한다면 진정한 보수와 진보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사리사욕을 위하여 외세에 붙은 반민족 세력에 뿌리를 둔 극히 일부의 권위주의적 반민주 기득권 세력과 자생적인 다수의 민주세력간의 갈등인 것이다.

일부의 반민주 독재의 잔재세력이 보수의 가면을 쓰고 오히려 민주세력을 좌익으로 몰아붙이고 협박하며 논리가 궁하면 당치도 않게 김정일과 연계시켜 말살시키려는 수법으로 사회를 혼란시키고 오염시키는 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과거에 독재자가 써먹었던 불법적이고 비열하고 낡은 수법인 것이다.

지난 10년간 IMF를 극복하고 민주적 법질서를 정착시고 남북간에 평화의 싹을 틔운 김대중 노무현 정권이 그들의 말대로 실패한 정권이고 좌파 정권이었다면 그렇다면 대한민국 역사상 과연 성공한 정권, 민주적 정권은 어느 정권이었단 말인가?

우리나라는 기득권세력들만의 나라도 아니고 보수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 만의 나라도 아니다. 우리나라는 기득권이 있든 없든 생각이나 사상이 어떠하든지에 관계없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국민의 나라인 것이다.

민주주의의 요체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관용이다. 지난 10년간의 민주 정권에서 과거의 반민주 독재세력에 대하여 보복이 아니라 관용과 용서의 차원에서 화해적인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한 보답이 결국은 오히려 이런 부당한 협박과 적대적인 배척이란 말인가? 걸핏하면 자유민주주의를 내세우는 사람들이 한 나라의 같은 국민에게 어떻게 자신들과 생각이 다르다하여 아직까지도 이런 불법적이고 난폭한 짓을 할 수 있는 것인가. 그들은 과연 누구의 편이며 누구를 위하여 무슨 권한으로 누구의 힘을 믿고 이러는 것인가? 미국의 힘을 믿고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하여 이러는 것은 아닌가?

역사를 되돌아 볼 때에 우리 국민이 공산 독재는 물론이거니와 이승만 독재 군사독재와 싸운 것도 바로 이 소중한 민주적 가치를 지키기 위함이었던 것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보수와 진보에 집착하는 것은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것이다. 반민주 세력의 책략에 말려드는 것이다.
진실은 오직 민주와 반민주에 대한 문제인 것이다. 진실과 거짓 양심과 비양심의 문제인 것이다. 이 눈부신 지식정보화 시대에 이제 국민을 더 이상 속일 수는 없다. 대세는 민주화 이다. 아집을 버리고 민주화의 큰길로 함께 나아가야하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