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일제 잔재 지명 ‘홍성’사용?
상태바
언제까지 일제 잔재 지명 ‘홍성’사용?
  • 한기원 <홍주신문 편집국장>
  • 승인 2021.08.19 0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주(洪州)’ 지명의 가치, 정치적으로 ‘방기(放棄)’

지난 15일, 제76주년 광복절을 맞았다. 일본의 36년 지배기간 동안 한국인의 삶에 스며든 일제의 잔재를 씻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다. 전국적으로 상당수의 지명이 일본식으로 바뀐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우리의 고유지명 찾기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우리 고유의 문화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 논거에서다. 하지만 아직도 전국 곳곳의 지명이 일본식으로 불리고 일상 속 말투에 일본식 단어가 섞이곤 한다. 

1910년 조선 국권을 강제로 침탈한 일본제국은 우리 국토의 고유 명칭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이른바 ‘창지개명(創地改名)’을 추진했다. 흔히 알려진 ‘창씨개명(創氏改名)’과 같이 조선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일본과 동화시키기 위한 시도였다. 일제는 ‘행정구역 폐합 정리’라는 명분으로 조선의 군 97개, 면 1834개, 리·동 3만 4233개의 이름을 지우거나 다른 명칭으로 바꿨다. 이러한 일제의 만행으로 우리는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 동안 뿌리내린 숱한 고유지명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일제강점기 일제에 의해 강제로 빼앗겼거나 잃어버린 고유지명 되찾기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의식과 정서를 말살하고 통치 편리를 위해 시도한 행정구역 개칭은 매우 광범위하게 자행됐다. 유형별로 보면 여러 지명에서 한 자씩 택한 ‘합성지명’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 숫자나 방위, 위치 등을 사용해 변경한 사례, 기존의 고유지명을 한자로 바꾼 경우와 일본식으로 개칭된 사례도 있다. 일본이 마을에 붙이는 ‘정(町)’을 사용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우리의 고유지명으로 복원해야 하는 이유는 굳이 일제잔재 청산이 아니더라도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의 회복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일제는 강점기 동안 우리의 국호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서울 ‘한성’을 ‘경성’으로, ‘순종황제’를 ‘이왕’으로 격하시켰다. 한반도의 허리인 ‘백두대간’을 ‘태백산맥’으로 바꿔 놓더니 산봉우리와 하천의 이름에서 ‘크다’는 의미가 담긴 ‘대(大)’자나 ‘한(韓)’자가 들어가는 명칭은 모조리 없애거나 바꿨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정통성을 끊고 모욕을 주기 위해 개명했거나, 땅이름 속 우리의 얼과 문화를 말살하기 위해 합성 지명화한 곳은 마땅히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더하는 까닭이다.

충청남도청소재지로 변모한 ‘홍성’의 경우도 그렇다. 충남도청 등 충남의 행정기관이 ‘홍성’이전을 계기로 제기된 ‘홍주지명역사 1000년’이 계기가 된 ‘홍주(洪州) 지명되찾기 범군민운동’은 다분히 정치적으로 이용되면서 본질적인 빛을 잃은 형국이다. 전국의 옛 목사고을이 모두 토박이 이름을 지키고 있는 가운데,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유지명인 ‘홍주(洪州)’를 되찾지 못하고 있는 곳이 바로 ‘홍성’이다. 충청도 4목(牧)이었던 ‘청주, 충주, 공주, 홍주’중에서도 유일하다. 일제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이름을 알고도 바꾸거나 되찾지 못하고 있는 경우다. 

특히 ‘홍성’은 강원도 ‘홍천’이나 ‘횡성’이라는 지명 등과도 혼선을 빚고 있다. 고유지명 ‘홍주’를 두고도 일제의 잔재 지명인 ‘홍성’을 언제까지 사용해야 하나? 충남도청소재지 ‘홍성’이란 지명의 가치는 점점 혼란스럽게 휘청거린다. 고유지명이 갖고 있는 ‘가치’를 온갖 핑계로 일관하며 정치적으로 ‘방기(放棄) 했다’는 점에서 홍성의 정치지도자들은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