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먹는 물’ 안전성 강화 나선다
상태바
‘학교 먹는 물’ 안전성 강화 나선다
  • 한기원 기자
  • 승인 2022.02.15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찾아가는 수질검사 실시
홍성·태안군 소재 초‧중‧고등학교 등 108곳 대상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학교 먹는 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 있는 모습.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학교 먹는 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 있는 모습.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학교 먹는 물에 대한 불안감 해소와 수질 안전성 강화를 위해 찾아가는 수질검사를 실시한다. 대상은 홍성·태안 소재 초‧중‧고교 78곳과 도내 지하수 음용학교 30곳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달부터 매분기 먹는 물 시료를 채취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당 학교와 교육지원청, 교육청에 통보할 계획이다. 2분기에 실시하는 지하수 음용학교 정밀 수질검사는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을 추가 검사해 지하수 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검사항목 중 음용지하수는 먹는 물 수질기준 46개 항목이며, 저수조는 6개 항목, 급수관은 7개 항목이다. 정수기와 급수기 등은 총대장균군과 탁도 2개 항목으로 먹는 물로서의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

부적합한 경우는 음용 중단을 신속히 통보하고, 소독 등 시설개선 조치 후 재검사를 실시해 적합 판정을 받으면 먹는 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먹는 물 수질기준 안내서’를 배포해 먹는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유해 물질의 상식과 올바른 음용법 등 정보를 제공한다.

이 사업은 2017년부터 도교육청과 협업으로 6년째 지속 추진 중이며, 검사 결과의 공공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시군별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실시한 보령‧당진 등 125개 학교의 수질검사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일부 부적합한 경우는 시설 폐쇄와 상수도 인입으로 먹는 물 안전성을 강화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수질검사 결과는 해당 학교, 교육청과 신속한 환류를 통해 안전한 먹는 물 공급으로 학생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검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