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경 의원, “유휴화 공공시설 청년들에 우선 제공해야”
상태바
최선경 의원, “유휴화 공공시설 청년들에 우선 제공해야”
  • 한기원 기자
  • 승인 2024.12.19 1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역·재생사업으로 지어져 방치된 공공시설 활용 방안 마련

[홍주일보 홍성=한기원 기자] 최선경 의원(더불어민주당·가선거구·사진)은 지난 17일 제309회 제2차 정례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의 공공시설을 ‘창업을 희망하거나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우선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검토해 줄 것”을 제안했다. 

최선경 의원은 먼저 “곳곳에 분포하는 공공시설 중 활용도가 낮거나 유휴화된 시설들이 관계인구의 창업, 거주, 활동 공간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관련 규정을 개선해 특히, 청년들에게 기회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을 요청했다.

이어 “지난 20년간 농촌공간정비사업·권역사업·농촌협약·도시재생사업·지방소멸대응기금·신활력사업 등으로 많은 건물들이 지어졌지만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데도, 우리 군에는 앞으로 2~3년 안에 다섯 동 이상 큰 건물들이 읍과 면 소재지마다 무슨 무슨 센터란 이름으로 건립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렇게 건물이 남아도는데도 농어촌복합도시인 우리 지역에는 특히 귀농·귀촌 청년들이 머무를 곳이 없다”며 “농사지을 땅도 없고, 살 만한 집도 없고, 사업할 공간도 없어 지역에 정착하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현행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등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공공시설들이 목적 외 용도로 활용되는 데 제약이 있는데, 관계인구의 농·산·어촌 활동 거점 공간으로 보다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며 “시행령이나 규칙을 개정하든지, 조례를 새로 만들든지 기존 공공시설들이 청년층을 위한 플랫폼 공간으로 이용되도록 유도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집행부를 향해 “이제 농촌에 건물은 그만 지어야 하고,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에 많은 건물이 필요한 것도 아니므로 있는 것 활용하고 고쳐 쓰면 될 것”이라며 “전수조사를 통해 국비 등 공공예산이 투입된 모든 건물의 활용 가능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