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 시작부터 ‘불협화음’
상태바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 시작부터 ‘불협화음’
  • <홍성군기자협회 공동기사>
  • 승인 2025.02.27 07:22
  • 호수 879호 (2025년 02월 27일)
  • 3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 소통 부재 ‘갈등 심화’
명분없는 조직 확대와 군의회 패싱 ‘논란 가중’
대한민국 문화도시 선정을 축하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린 홍성군청 본관 전경.
대한민국 문화도시 선정을 축하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린 홍성군청 본관 전경.

홍주(洪州) 1000년 문화예술의 다양성과 특색을 바탕으로 지난해 대한민국 문화도시사업에 선정된 홍성군이 올해 본격 사업을 추진하기 전부터 조직 확대와 예산 문제 등을 둘러싸고 불협화음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사업을 위임받는 홍주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최건환, 이하 재단)은 이사회 결의도 없이 조직 확대와 함께 홍성군의 1회 추경도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 직원채용 공고를 진행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군과 재단은 지난 24일 ‘홍성의 맛과 멋’이란 테마로 문화도시사업 추진을 명분으로 기존 1국 3팀 12명 규모의 조직을 1국 1센터 6개팀 24명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 과정에서 효율적 조직 운영을 이유로 문화도시센터 신설을 통해 15명의 직원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다. 

이에 재단은 추가 직원 채용을 위해선 재단 정관에 의거 이사회 승인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사회 결의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올해 본격 사업추진을 위한 예산이 확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9명의 기간제 직원 채용 공고를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홍성군의회 행정복지위원회에 조직 확대 계획을 뒤늦게 보고하기도 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10만 홍성군민의 대의기관인 홍성군의회를 무시한 일방적 사업 진행이라는 비판과 함께 군의회 패싱 논란까지 불거지며 사업의 투명성까지 의심받고 있다.
 

논란의 중심에 선 홍주문화관광재단.
논란의 중심에 선 홍주문화관광재단.

홍성 100년의 미래를 향한 군 신청사 건립 등 대규모 숙원사업도 기존 해당 부서 소수 인원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과 비교해 ‘문화도시사업에 과도한 인력이 투입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홍성 문화도시사업은 ‘홍성만의 특색있는 맛과 멋’을 살려 군민과 함께 공유하고 더 나은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지역 전문가의 소통이 중요하지만 소통의 부재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비와 군비 등 5대 5 매칭으로 총 199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문화도시 사업은 올해부터 분기별로 사업을 추진해 오는 2027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사업 초기부터 조직 확대와 직원채용 과정에서 투명성이 결여된 행정이 도마 위에 오르며 사업의 효율성과 타당성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예비문화도시를 추진했던 문화도시센터를 홍주문화관광재단으로 편입하려는 의구심마저 불거지고 있다.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이다. 군은 지난해 ‘대한민국 대표 문화도시’로 지정됐지만, 사업 초기부터 조직 운영과 예산 사용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재단의 주먹구구식 행정과 홍성군의회와의 협의 부재는 사업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논란은 문화도시사업 초기 단계부터 발생한 문제로 향후 사업추진 과정에서 더 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지역 문화예술계의 한 전문가는 “재단 조직 확대와 운영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9명의 기간제 직원모집 공고 등 군의회와 사전 협의를 진행하지 않은 것은 홍성군의회가 제대로 견제하지 못한 결과”라고 지적하며 “문화사업 진행 후 군의회에 보고하는 방식은 군민을 대표하는 군의회 의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재단 관계자는 “지난 1월 운영계획에 대한 결재문서는 마련했지만 이사회에 정식 안건으로는 상정되지 않았으며, 이사회에서는 문화도시 사업을 재단에서 진행한다는 구두로만 논의가 이뤄졌다”면서 “재단 임시조직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없다면서도 더욱 신중히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과 재단은 조직 확대와 예산 사용에 대한 투명한 설명과 함께 홍성군의회와 전문가,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해 논란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