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일보·홍주신문>은 예산군에서 추진 중인 크고 작은 우리지역 추진사업의 현황과 관련 정보를 매주 하나씩 소개합니다. <편집자주>
[홍주일보 예산=김영정 기자] 예산군은 인구 감소와 함께 농촌 지역에 방치된 빈집이 늘어나면서 주거환경 악화와 미관 저해, 범죄 우려 등 지역사회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2025년 본격적으로 빈집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예산군의 빈집 관련 정책은 단순한 철거나 정비를 넘어, 빈집을 지역 활성화와 주거 복지, 귀농·귀촌 유입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 예산군이 가장 주목받는 정책은 ‘농촌 빈집 거래 활성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매매 가능한 빈집의 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빈집을 매물화한 뒤 민간 부동산 거래 플랫폼 등에 등록해 거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군은 이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협력 공인중개사’를 모집해 빈집 정보의 구체화와 매물화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16일까지 공인중개사 모집이 진행된 바 있으며, 이들 중개사는 빈집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거래를 희망하는 빈집을 선정하고, 민간 플랫폼을 통해 매물 정보를 제공해 귀농·귀촌 희망자와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통해 빈집 소유주는 방치된 자산을 현금화할 수 있고, 귀농·귀촌인은 저렴하게 농촌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다.
이와 함께 예산군은 ‘함께 써유’ 사업을 통해 빈집을 철거한 뒤 그 부지를 공공용지(주차장, 쉼터 등)로 전환하는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빈집 철거에 동의한 소유주에게는 1동당 최대 1500만 원의 철거비가 지원되며, 철거 후 해당 부지는 지역 주민의 편의를 위한 공공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는 빈집으로 인한 미관 저해와 범죄 우려를 줄이고, 지역사회에 새로운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예산군은 ‘더 행복한 공유주택’ 사업을 통해 빈집을 리모델링해 주거 취약계층에게 무상 임대하는 정책도 시행 중이다. 리모델링비로 1동당 최대 2000만 원이 지원되며, 임대 기간은 4년이다. 이 사업은 빈집을 단순히 정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저소득층·청년 등 주거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주거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주거복지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중앙부처는 지자체가 빈집 정비와 활용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예산군 역시 이러한 국가 정책과 연계해 빈집 정보 플랫폼 구축, 빈집우선정비구역 지정, 빈집 재생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예산군은 앞으로도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민간과의 협력, 주민 참여, 다양한 용도로의 빈집 활용 등 지역 맞춤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빈집을 단순히 문제로 보지 않고, 지역사회 활성화와 주거 복지, 귀농·귀촌 유입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며,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