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개막, 8월 10일까지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이하 ‘이응노의 집’)은 전북도립미술관과 공동기획한 ‘뺑끼쟁이? 이응노+전주’ 전시를 지난 24일부터 다음달 10일까지 전북도립미술관 서울 분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이응노의 집이 광역시·도 단위 미술관과 함께 진행하는 최초의 공동 기획전인 동시에 이응노의 집이 이응노의 전주시기에 주목하는 첫 전시이기도 하다.
그동안 미술사에서 이응노는 프랑스 활동을 중심으로 조망됐, 그의 전주 시기는 ‘간판쟁이’로 그 역할을 축소해 해석해 왔다. 이에 이응노의 집과 전북도립미술관은 이응노의 집에서 소장하고 있는 100여 점의 엽서를 공동 연구해 그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한국근대미술사 정립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1층에서는 이응노가 전주시기에 주고받았던 엽서 100여 점과 교류했던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에 공개되는 전주 시기 엽서의 경우, 최초로 대중에게 공개되는 아카이브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엽서를 통해 스승 김규진의 장남이자 동양화가 김영기, 호남화단에서 새로운 남종화 화풍을 이끌었던 정운면, 조동욱 등 당대 사군자와 수묵에 능한 작가들과 교류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엽서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김규진, 전북의 서화가였던 이광열, 배석린, 군산에서 서화연구소를 설립했던 황용하의 작품도 확인할 수 있다. 2층에는 1926년경부터 1937년경까지 이응노의 전주시기에 그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나무 그림을 중심으로 전시될 예정이다.
한편 홍성군에서 태어난 고암 이응노(1904~1989) 화백은 10대에 전북에서 활동하던 서화가 송태회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다. 1925~1926년경 전주에 정착해 ‘개척사’를 설립해 1936년까지, 약 12년간 충청도·전라도 작가들의 작품과 화보, 미술용품을 매매하는 화상이자 홍보·장식의 목적으로 사용되던 간판의 제작자 겸 작가들의 교류를 중개하며 전시 공간을 조성하는 연출자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