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방제는 조류 분산 확산시키는 원인”금지 조언도
최근 충남을 비롯한 전국에 확산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사전 예방 대책 수립 등 선제적 대응이 최선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 정옥식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에 게재된 ‘조류인플루엔자(AI) 관리 대책, 예방이 최우선이다’라는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고병원성 AI의 보유숙주가 야생조류라고 지목되고 있으나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으며 고밀도로 사육되는 가금류에서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내 AI 발병의 주요 특성인 △반복적·중복적인 발병 △통제선 밖의 빠른 확산 △AI에 따른 야생조류의 폐사 증가 등을 바탕으로 예방 및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을 둔 AI 관리 체계 정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지역 설정, 통제초소 설치, 살처분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대부분 통제선과 방역지역 밖에서 재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 잠복기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AI 발병 단계 이전에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논문은 지적했다.
일본의 경우 가금류 농장을 대상으로 위험군의 전수 조사와 무작위 추출 등 중복적, 정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가금류의 혈액조사, 시료 분석을 통해 발병 유무를 체크하는 등 AI 발병에 대해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다. 논문은 AI의 국가 간 전이는 명확하지 않지만 국내에서 야생조류가 고병원성 AI를 지역간 옮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가금류의 병원(病原)이 야생조류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해야 하며 조류서식지에 대한 방제, 특히 항공방제는 조류 분산을 확산시키는 만큼 금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밖에 농가에서 AI 예방이 실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하고 2~3중의 병원(病原) 차단벽 형성 등 구체적이며 세분화된 매뉴얼 마련을 주문했으며 중복 발생한 위험농가에 대해서는 ‘출하허가제’ 실시도 검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