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시 승격 추진 마스터플랜 필요
상태바
홍주시 승격 추진 마스터플랜 필요
  • 한관우 발행인·김현선 기자
  • 승인 2014.07.31 1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중진단<3> 홍주시 승격 추진과 전망

홍주시(洪州市) 승격은 홍성군민들로서는 필수적 희망 사안이다. 하지만 이를 추진하기 위한 방법론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특히 본래 지명인 ‘홍주’ 지명역사 1000년과 맞물린 충남도청이전, 홍성과 예산의 통합을 통한 시 승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방안마련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홍성과 예산의 통합을 통한 시 승격의 문제가 정부의 행정구역 통폐합과 맞물려 논의되면서 실제로 추진되다가 후유증만 남긴 채 중단된 상태다.

홍성과 예산의 통합을 통한 시 승격문제는 예산군의 심한 반발과 반목이 지속되는 한 쉽지 않은 문제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당분간일지는 몰라도 ‘이미 물 건너갔다’는 주장과 ‘홍성 단독으로 홍주시로 승격해야 한다’는 현실론에 설득력이 더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부 군민들이 제기하고 있는 홍성 단독으로라도 충남도청 내포신도시를 포함한 홍주시 승격이 오히려 실효적이라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리는 형국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김석환 홍성군수가 선거공약에 이어 홍주시 승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히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주시 승격은 여러 측면에서 의미를 갖게 된다.

우선 충남도청소재지 도시로의 위상 확보다. 특히 조선시대 전국의 목사고을 중 유일하게 일제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토종지명인 홍주(洪州)라는 지명을 자연스럽게 되찾을 수 있다는 기대도 크다. 옛 행정, 교통의 중심지로서의 영광을 되살리면서 충남도청소재지라는 장점을 살리는 핵심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역사, 문화, 관광 등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시(市)로 승격되면 중앙정부로부터 행정·재정적 지원이 확대되고, 도시브랜드 가치가 올라갈 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을 촉진시키는 것은 물론 복지서비스도 향상될 것이라는 당위성도 작용하고 있다. 반면 활발한 도시 인프라 구축에 따른 담세(擔稅)등의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다.

결국 시 승격의 본질적인 측면은 새로운 변화와 희망을 발판으로 주민들이 행복을 느끼고, 즐겁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사의 전환점이며, 도약의 기회라는 점에서 군민들의 희망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면 과연 홍주시를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추진하느냐의 문제다. 충남도청소재지 도시라는 점을 전제하더라도 적합한 모델로는 인근의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한 예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당진시의 승격은 도·농 복합시다. 도·농 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이 상호 공존하면서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읍·면·동이 함께 공존하는 행정구역을 말한다.

도·농 복합시로 승격되기 위해서는 인구 5만 명 이상의 도시 형태를 갖춘 지역이 있어야 하고, 도시적 산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군 전체 가구의 45% 이상이 돼야 하며, 재정자립도가 전국 군 재정자립도 평균치(16%)를 넘어야 한다는 것이 지방자치법에 명시된 요건이다. 현재 홍성군은 전체 인구가 지난 6월 말 현재 9만687명이다. 인구 15만 명에서 무려 5만9300여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부족한 인구의 유입가능성은 충분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는 도청신도시가 들어선 홍북면의 인구가 지난달 말 현재 7600여명으로 전년대비 1400여명이 증가한데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당장 시 승격 요건인 홍성읍 인구 5만 명은 홍북과의 행정구역 통합조정을 추진하면 지난달 말 현재 5만2088명으로 이미 기준을 넘어섰다. 따라서 2016년까지 도청신도시의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의 공급량이 1만여 가구에 달하기 때문에 입주가 시작되면 4~5만여 명의 인구증가가 예상돼 충분한 가능성이 열려 있다. 여기에 홍성읍 등 주변지역에도 신도시조성에 따른 인구유입의 증가도 기대되고 있다. 인구 증가와 함께 도시화율이나 재정자립도는 시 승격 기준시점에서는 자연스럽게 충족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예측이다. 이러한 가능성과 동시에 시 승격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군민들의 이해와 동참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 승격 추진이 주민참여나 의견수렴, 합의과정 없이 관 주도로 진행된다면 자칫 실패하거나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지적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시 승격 추진과 관련하여 필요한 마스터플랜 마련을 통한 주민공청회나 토론회는 필수적 사안이다. 마치 시 승격은 누구도 의심할 수 없는, 반드시 추진해야 할 절대적인 가치인 것처럼 행정에서 일방적으로 정책을 발표하거나 추진한다면 그에 대한 비판은 물론 주민들의 동참이나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반여건 조성으로 인구유입을 통한 자연스런 시 승격이 아니라 인구 늘리기를 통한 인위적인 시 승격 방식 등은 문제를 일으킬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당진시의 승격과정에서 목격한바 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주민들이 스스로 주도해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 전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