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이전신도시 예정지역 원주민 실태조사 분석 결과
상태바
도청이전신도시 예정지역 원주민 실태조사 분석 결과
  • 전용식 기자
  • 승인 2008.09.10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청이전신도시 예정지역 428세대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428세대중 321세대(80%)가 향후 조성될 도청이전 신도시내에 재정착하기를 희망했으며 개발이주자 전세자금 대여 대상자 118세대중 100세대가 수령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전환훈련에 198세대가 참여의사를 밝히는 등 생활안정 부분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었다.

◆현재 주거형태 및 세입유형

전체 응답자 401세대 중 자가 328세대(82%), 세입자 73세대(18%)로 단독 농가주택이 대부분으로, 거주형태는 자가(328세대,82%)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입자 중에서는 전세(15세대, 4%)보다 월세(25세대, 6%)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전·후 이주의사


주민 대부분은 개발사업시에는 인근지역으로 임시이주(310세대, 77%) 했다가 신도시가 완성되면 대부분 신도시내로 재정착(321세대, 80%) 할 계획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주주택 유형을 보면 개발에 따른 이주 시 대부분 임시 이주할 것으로 보여 진다. 주택은 자가(161세대, 40%)와 임대(223세대, 56%)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신도시 재정착시에는 일부 영세계층(96세대, 24%)을 제외한 대부분 자가주택(287세대, 72%)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개발이주자 전세금 대여


개발이주자 전세금대여 대상자는 118세대(29%) 중 개발 시 전세금 수령 의향자는 100세대(85%), 개발 후 저소득층 전세금 융자 수령 의향자는 86세대(73%)로 나타났다.
조사응대 원주민 401세대 중 개발이주자 전세금대여 대상자(총 보상금 1억 이하인자)는 118세대(29%)로 이들 대부분은 영세 저소득층으로서 개발 시 이주는 대상자 대비 100세대(85%), 개발 후 재정착을 위해서는 86세대(73%)가 전세금 수령의사를 보였다.

◆ 장묘관련

묘지 이장방식으로는 매장(395기, 56%)을 선호하며, 이장방법으로 개별이장 354기(50%), 예산군 공원묘지는 110기(16%)로 나타났다.
도청이전예정지 원주민 대부분 전통장례문화를 중요시 여기는 이유로 화장(227세대, 32%) 보다는 매장(395세대, 56%)을 여전히 선호하고 있으며, 매장방법으로는 50%(354세대)가 개별이장을 계획하고 있어 예산군 공원묘지는 당초 추계한 110세대(16%) 정도 이장할 것으로 보인다.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관련


조사응답 주민 401세대 중 198세대(49%)가 직업훈련참여 의사를 228세대(57%)는 직업알선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청이전예정지 원주민 대부분 노령화로 인해 직업훈련 참여의사를 보이는 주민은 절반(198세대, 49%)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알선 또한 228세대(57%) 정도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희망 훈련과정을 묻는 질문에는 준비가 되지 않아 대다수 응답을 하지 못했으나 일부 주민은 조리, 도배, 중장비 운전 등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