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산면 동성리와 취생리, 기산리, 부기리 일원에 조성되는 홍성 일반산업단지(126만㎡)를 둘러싼 갖가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하게 일진기업과 MOU 체결을 한 것뿐인데 일방적으로 홍성군이 끌려 다닌 다는 것이다.
골프장 건설의 수순처럼 토지지주들한테 동의서를 얻은 다음 업체를 선정해도 늦지 않는데, 업체를 먼저 선정한 후 업체의 입맛에 맞게 작업을 하려하니 주민들 간의 갈등이 사그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그동안의 일진기업 태도에서도 여실히 나타나는데 11차례의 군과 홍성일반산업단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와의 3자 간담회 자리에서 보여준 행태에서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다른 지역에서도 일진기업을 유치하려고 요청을 해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라도 하듯, 일진기업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않고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군은 일진기업의 바람막이 역할밖에 못하고 있고 시행자로서의 권한 행사도 못하고 있다는 주장에 힘을 실고 있다.
본지 51호 보도와 같이 비대위측과 홍성군은 지난 2일 11시 각기 다른 풍경을 연출했다.
비대위 김광동 공동위원장은 “일진기업 강 전무는 그동안의 간담회에서 2차례 밖에 참석을 안했고 지난달 27일에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홍성군이 유치를 희망해서 온 것이지 우리는 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군은 주민들과 기업과의 사이에서 미숙한 행동들을 보였다”며 “차후에 홍성군이 산업단지를 유치하려면 솔직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겸비해야 한다. 지금은 자기 덫에 자기가 걸린 상태라고” 말했다.
“그동안 주민들과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려고 했으나 주민들의 무리한 요구로 답보상태에 있다. 산단건설은 계속될 것이라고 브리핑을 한 장광수 지역과장은 지난5일 본지에 다시 한 번 입장을 밝혔다.
장 과장은 “군수가 홧김에 말한 것은 사실이다. 산단문제로 스트레스가 심했는데 주민들이 마음을 몰라주니 속상해서 한 것같다”며 “현재는 지구지정 승인 신청도 안한 상태이다. 승인이 되고 공고 공람을 하게 되면 그때부터 감정평가와 보상가 협의가 되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주민들이 원하는 선보상가 제시는 법적으로 행정적으로 힘든 부분이다”고 강조했다.
장 과장은 “홍성군에 산단 유치는 꼭 필요한 사업이다. 갈산주민들과 대화를 계속해보겠지만 힘들다 싶으면 제2의 지역을 물색할 것이다”며 “현재 광천의 주민들이 산단 유치 요청을 해왔기 때문에 광천 쪽도 염두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