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차단 비상‘방역력 집중 투입’
상태바
구제역 차단 비상‘방역력 집중 투입’
  • 이은주 기자
  • 승인 2016.03.24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 지사 ‘구제역 조기종식·확산 방지’
보강접종·항체 전수조사 방역력 집중

최대 축산단지 홍성에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지난 21일 홍동면의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성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해당 농가에서 사육중인 1200여 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하고 홍성지역 돼지를 대상으로 추가 백신접종을 실시하는 등 추가적 방역 조치에 들어갔다. 충남도는 천안과 공주, 논산에 이어 홍성까지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백신 보강 접종과 항체 전수조사에 방역력을 집중 투입한다.

안희정 지사는 2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도내 돼지에 대한 일제 보강 백신 접종을 23일까지 마무리 하고 다음 달까지 일제 임상검사 및 항체 형성률 전수조사를 통해 구제역 전염 돼지를 현장에서 솎아내겠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연이은 구제역으로 축산농가들이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고 있으며, 방역, 백신 접종 등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있다”며 “구제역을 뿌리 뽑기 위해서는 도내 1000여 양돈농가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며 백신 보강 접종과 전수조사에 대한 농가들의 동참을 당부했다.

또 “농가와 도가 힘을 모아 구제역을 이겨내 깨끗한 축산업으로 신뢰를 얻는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일제 보강 백신 접종은 방어력이 부족한 양돈의 항체 형성률 제고를 위한 조치다. 대상은 최근 일제 접종을 마쳤거나 1개월 내 백신을 접종한 돼지를 뺀 도내 12개 시·군 116만 마리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18일 백신 공급을 마무리했다. 돼지의 방어력 검증을 위한 항체 형성률 전수조사는 도내 838농가를 대상으로 다음달 24일까지 실시한다.

전수조사는 지역별 3단계에 걸쳐 추진되며, 전수조사 과정에서 의심축이 발견될 경우 방역 실시 요령 및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SOP)에 따른 신속 대응으로, 전파 요인을 조기 제거할 방침이다. 전수조사에서 항체 형성률이 30% 미만으로 나타난 농가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하고, 60% 미만 농가에 대해서는 교육 및 지도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는 다음 달 조직개편과 연계해 ‘충남형 가축 질병 근절 프로젝트팀’을 신설하고, 6월까지는 농장별·지역별 ‘구제역 지도’를 작성한다. 구제역 지도는 지역별·농가별 항체형성률 분석 결과, 야외 바이러스항체(NSP) 검출 농가 관리, 발생지역 및 지역별 오염도 분석, 가축 사육 밀집지 등을 담게 된다. 이어 7월에는 항체 형성률 향상 방안, 출하쿼터제를 통한 과밀 사육 농가 정비 지원 배제 및 과태료 부과 등의 내용이 담긴 ‘구제역 근절을 위한 축산농가 협력·준수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안 지사는 “이동제한 조치로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앙정부 등과 상의해 도내 출하량이 제때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