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견례-관자, 계자의 부모님이 주례, 계자빈 선생님에게 예를 올리고 있다. ▲ 삼가례-른이 입는 3가지 복장을 갈아입히며, 그 순간순간에 교훈의 말씀을 전수한다. 관자와 계자에게 찬자와 시자가 어른이 입는 재가례복장을 입혀 주고 있다. ▲ 가관례-이제 어른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의미로 관자에게는 관모를 계자에게는 비녀를 틀어준다. 계자에게 시자가 족두리를 씌워주고 비녀를 틀어주고 있다. ▲ 초례-성년이 되었음을 축하하는 뜻에서 관자에겐 술잔을 내려주고, 계자에겐 차를 내려준다. 술을 마시도록 허락하되 술마시는 법도를 교훈으로 내리는 순서이다. ▲ 명자례-조상이 내려주신 고귀한 몸과 이름을 잘 지키도록 하는 의미에서 이름대신 항상 부를 수 있는 자(字)를 내려주고 그 가르침을 내려주는 명자례 순서를 마직막으로 성년 선언 후 관자는 1번, 계자는 2번 절을 올린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국 다른기사 보기 페이스북 카카오톡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주요기사 장곡면, 농촌형 돌봄모델로 횡성군 방문단 맞아 제2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공식 출범 홍성군립합창단, 18일 찾아가는 음악회 개최 이용록 군수, 내년도 국비 확보 위해 국회 행보 천수만 품은 ‘놀궁리 해상공원 축제·청운’ 개최 제4회 홍고통 행복마을 페스티벌 개최 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보급혁신 경진대회 대상 수상 홍성군, 수도사업 경영개선 실적 ‘우수지자체’ 선정 2025년 다문화가족 어울림 한마당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