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협, 정관 따라 선거 치른 것… 방역지원에도 총력
구제역이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 3일 홍성축협에서 관내 축산인들이 대규모로 모이는 대의원선거를 개최해 논란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 7일 군의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의원간담회 축산과 업무보고 자리에서 군의원들로부터 제기된 것이다. 이날 박만 의원은 축산과와 홍성축협 간에 지난 3일 열린 홍성축협 대의원선거 개최에 대한 사전협의가 있었는지를 물으며 문제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군에서는 구제역 차단을 위해 정신없이 노력하는데 사전 협의도 없이 부적절한 시기에 관내 축산인의 80% 정도가 참여하는 대의원선거를 해야 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군은 구제역 차단을 위해 예비비를 들여 방역하는데 이렇게 군과 축산유관단체 간 손발이 안 맞아서 어떻게 하겠나”라고 비판했다.
이병국 의원은 “축산인들이 구제역 차단에 더 신경써야 하는데 안일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축산인과 축협 등에서 더 책임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부균 축산과장은 “그동안 축산 유관기관·단체에 행사 자제를 요청하는 공문도 보냈었고 축·낙협은 조합장 취임식도 자제하며 협조했는데 이번 대의원 선거를 개최한 것은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또 기업형 대규모 축산에 대해서는 선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김덕배 의원은 “소규모 축산농에 대한 지원은 이해가 가지만 대규모 위탁 혹은 기업형 축산까지 백신이나 방역을 지원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소규모축산과 기업형축산을 구별해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축협은 이번 대의원선거와 관련해 대의원 임기가 오는 20일로 끝나 정관에 따라 대의원선거를 해야 했다고 해명했다. 홍성축협 최운탁 차장은 “구제역도 소강국면에 접어든 데다 지난달 동시조합장선거도 구제역과 관계없이 치른 것도 있고 해서 대의원선거를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축협은 농협공동방제단 차량 6대 및 축협방제단 차량 2대 등을 모두 가동해 구제역 발생초기부터 축산농가 등의 방역지원에 나섰으며, 소독약 1700리터 및 생석회 115톤을 축산농가에 공급하는 등 방역지원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