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개발 지연에 실효성 논란
[홍주일보 한기원 기자] 충남개발공사가 매입한 내포신도시 공공기관 통합청사(옛 J컨벤션센터)가 매달 수천만 원의 손실을 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00억 원 가까이 투입한 덕산온천 관광호텔 부지 개발사업도 협의 지연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공사의 투자 결정 전반에 대한 도의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4일 열린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충남개발공사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구형서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천안4)은 통합청사 운영 적자 문제와 덕산온천 개발 지연을 잇따라 지적하며 공사의 전략 부재를 강하게 비판했다.
구 부위원장은 “공공기관 통합청사 매입에 280억 원이 투입됐고, 운영비만 매월 2000만 원이 드는 상황에서 월세 수입은 3100만 원 수준에 그친다”며 “운영비만 놓고 보더라도 적자인 데다 매입비용 280억 원에 대한 최소 연 3% 수준의 기회비용을 감안하면 월 7000만 원 안팎의 추가 부담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매달 6000만 원 이상 실제 손실이 누적돼 1년이면 7억~8억 원대의 적자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가 제기된 지 1년이 지났음에도 정상화되지 않은 만큼 △공실 해소 △임대 활성화 △재무개선 방안 마련 등 실효적 대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덕산온천 관광호텔 부지 개발사업과 관련한 우려도 제기됐다. 공사는 지난해 약 100억 원을 투입해 부지를 매입한 뒤 예산군·충남도·민간사업자(H사)와 공동 개발을 추진해왔으나 협의가 길어지며 MOU 체결조차 지연되고 있다.
구 부위원장은 “덕산온천 일대는 기존 리조트 운영 구조, 관광수요 정체 등 현실적 제약이 많은데 공사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것에 비해 사업 실현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며 “민간사업자의 참여 의지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기간 협의만 이어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예산군·충남도·민간 간 MOU가 늦어지는 것 자체가 사업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만큼 보여주기식 추진이 아니라 사업 무산에 대비한 플랜B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병근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민간 참여가 가장 현실적인 개발 방식이라고 판단해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며 “관계기관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