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글밭 일군 ‘문학 혼’ 품은 집, 요산·향파·추리문학관
상태바
부산 글밭 일군 ‘문학 혼’ 품은 집, 요산·향파·추리문학관
  • 취재=한기원·백벼리 기자
  • 승인 2021.07.24 0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문학관 활성화 방안을 찾다 〈8〉
2003년에 복원한 김정한 생가. 사진 오른쪽 전면은 요산 김정한문학관.

부산 3대 문학관, 요산 김정한문학관·향파 이주홍문학관·김성종추리문학관
향파와 요산은 부산이라는 지역성에 머무르지 않은 한국 현대문학의 거목
요산, 가난하고 핍박받는 민중의 애정, 불의·부조리의 항거를 작품에 녹여
향파, 부산에서 지역 문화예술의 토대를 마련하면서 후배 문인들을 이끌어

 

부산에는 요산 김정한문학관, 향파 이주홍문학관, 김성종 추리문학관 등 세 개의 대표적인 문학관이 있다. 요산문학관과 향파문학관은 작고 문인인 김정한과 이주홍을 기념하는 문학관이고, 추리문학관은 특정 장르를 중심에 두고 김성종이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세 문학관 모두 사단법인이나 개인이 운영하고 있다. 해운대 추리문학관은 김성종 소설가의 사비로 건립됐고, 요산문학관과 향파문학관은 노무현 정부 시절 부산시가 재정을 투입해 세웠다. 현재 운영을 살펴보면 추리문학관은 김성종 소설가 개인이, 향파문학관은 가족과 지인에 의해, 요산문학관은 부산작가회의의 작가들로 구성된 요산기념사업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요산(樂山) 김정한(1908∼1996)과 향파(向破) 이주홍(1906∼1987)은 지음(知音)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하는 동시대 부산의 대표적 작가로 꼽히고 있다. ‘지음(知音)’이라는 단어는 마음이 통하는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하는데, 실은 마음이 통하는 차원을 넘어서는 의미가 있다. ‘서로를 알아주는 친구’가 그것이다. 공자가 ‘나를 아는 자가 없다’고 탄식하면서 ‘나를 아는 자, 저 하늘이다’라고 했던 말의 뜻을 새겨 보면, 자신을 알아주는 벗 한 사람만 있어도 삶은 행복하다고 할 것이다. 이렇듯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두 사람은 부산이라는 지역성에 머무르지 않는 한국 현대문학의 거목이다. 

요산과 향파는 서로 집에까지 드나들고, 함께 술을 마시고, 동인지를 내고, 같은 문학단체에 회원으로 활동했다. 광복 직후인 1947년부터 향파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40년간 교유한 평생 친구이자 동지였다. 두 사람은 문학예술인으로 같은 길을 걸었지만, 방향과 결은 사뭇 달랐다. 요산은 평생 소설가로 살았고, 향파는 시, 소설, 동화, 시나리오, 중국어 번역뿐만 아니라 연극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또 서예에 일가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고, 일제강점기에는 문단 만화를 그려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이뿐만 아니라 두 사람의 작품 경향도 달랐다. 요산이 현실참여적 경향이었다면, 향파는 순수예술을 지향했다. 하지만 “기질은 달랐지만 인간을 소중히 여기는 문학 정신은 같았다”고 요산은 인터뷰에서 밝히고 있다. 

요산 김정한과 향파 이주홍은 이렇듯 다르지만 같은 길을 걸으면서 부산 문단의 양대 산맥을 이뤘다. 두 사람의 문학과 예술정신은 요산 김정한문학관과 향파 이주홍문학관을 통해 오늘에 이어지고 있다. 

전국 최초로 제1호 공립어린이문학관으로 등록된 합천이주홍어린이문학관
전국 최초로 제1호 공립어린이문학관으로 등록된 합천이주홍어린이문학관
요산문학관 앞의 요산 김정한 상, 

현실참여적 경향요산(樂山) 김정한문학관

‘낙동강의 파수꾼’이라 스스로 부른 요산(樂山) 김정한은 서울과 일본 와세다대에서 보낸 유학 시절을 빼고는 부산을 떠나 본 적이 없다고 한다.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일생을 보냈으니, 부산은 요산문학의 근간이다. 가난하고 핍박받는 민중에 대한 애정, 불의와 부조리에 대한 항거를 작품 속에 녹여 낸 요산은 삶과 작품, 정신과 행동이 하나였다. 


요산은 1928년 동래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교사가 됐다. 일제의 조선인 교원 차별에 항거하기 위해 조선인교원연맹 조직을 계획했으나 실행에 옮기기 전에 일경에 체포됐다. 이 일을 계기로 교사를 그만두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1930년 일본 와세다대 제일고등학원 문과에 입학, 수학하면서 사회주의 문학운동 단체에 참여하기도 했다. 1932년 여름방학 때 귀국해 양산농민봉기사건에 관련돼 투옥되자 학업을 중단했다. 이듬해 보통학교 교사를 하면서 농민문학에 투신했으며, 1936년 단편 ‘사하촌(寺下村)’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다. 요산의 문단 데뷔는 부산문학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식민지 현실의 부조리함을 고발하는 단편들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민중을 선동하는 요주의 작가’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후 동아일보사 동래지국을 인수해 운영하다가 치안유지법 위반이라는 죄명으로 경찰에 체포됐고, 일제의 탄압이 극심해지자 붓을 꺾었다. 광복 후 부산중학교 교사를 거쳐 1949년부터 부산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1966년 단편소설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하면서 다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작품 활동을 통해 요산은 민족문학의 정점에 서있는 작가로 평가받는데, 군부 독재시절인 1974년 독재와 유신에 반대하는 문학인들의 모임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고문으로 활동했고, 1987년 ‘민족문학작가회의’가 창설됐을 때는 초대회장을 맡기도 했다.

요산문학관은 요산이 태어나고 성장했던 금정구 남산동(팔송로 60-6) 조용한 주택가에 있다. 1908년부터 청년 시절까지 보낸 생가가 2003년 복원됐고, 옆에는 2006년 세워진 문학관이 있다. 문학관에는 요산이 소장했던 육필 원고와 창작 메모, 작품집, 소설 속의 현장과 유품을 전시하고 있다. 매년 요산문학축전, 특별전시전, 독후감 토론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요산을 기리고 있다. 

특히 서가를 가득 채운 책과 원고지 칸에 정성을 기울여 쓴 육필원고는 뭉클한 감동까지 안긴다. 부산문학의 거목이 온 생을 바친 문학의 길과 인간의 길이 생생하다. 요산문학관 벽에는 작품 ‘산거족’의 문장이 새겨져 있어 눈길을 끈다. “사람답게 살아가라!”

일제에 항거해 붓을 꺾고 30년 동안 작품 생활을 하지 않았던 요산이 일갈하는 듯하다. 
 

 이주홍문학관.
향파 이주홍문학관.

■ 순수예술을 지향… 향파(向破) 이주홍문학관
향파(向破) 이주홍은 ‘현실을 깨뜨리고 앞으로 나아간다’는 의미의 호는 진보적이고 진취적인 성향에 딱 들어맞는다고 한다. 가난한 소농의 아들이었던 향파는 열네 살의 어린 나이에 신학문을 공부하기 위해 단신으로 서울로 간다. 껌과 은단을 팔고 신문 배달을 하며 고학을 하다 힘겨워지자 1924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막노동꾼으로 등짐을 지며 배움의 길을 모색하던 향파는 재일교포 자녀들이 우리말과 글을 잃어가는 현실을 목도한 후 민족 얼의 정수인 우리말과 글을 가르치기 위해 학원을 설립해 재일교포 자녀들에게 한글을 교육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그의 진취적인 성향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1925년 ‘신소년’에 ‘뱀 새끼의 무도’라는 동화를, 192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가난과 사랑’이라는 소설을 발표했다. 그해 아동잡지 ‘신소년’의 편집일을 맡아 고국으로 돌아왔다. 향파는 식민지 조국에서 다양한 문예잡지를 만들었는데, 종합문예지 ‘풍림’과 ‘신세기’의 잡지 편집일을 맡으면서 일본 경찰에 의해 ‘불령선인’으로 지목돼 결국 1945년 봄 서울에서 체포돼 8·15 광복 다음날 풀려났다. 이후 배재중학교 교사를 하면서 ‘초등국사’를 발간하는 등 우리 국사교과서를 되살리기도 했다.
경남 합천에서 태어난 향파가 부산에 자리를 잡은 것은 1947년 동래중학교 교사로 부임하면서부터다. 향파는 부산에서 지역 문화예술의 토대를 마련하고 후배 문인들을 이끌었다. 1949년 수산대학(현 부경대) 교수로 근무하면서 연극운동과 문학의 저변 확대에 심혈을 기울이기도 했다. 1987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300여 편의 소설과 동화를 비롯해 수많은 저작을 남겼다. 대한민국예술상, 대한민국문화훈장, 대한민국문학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향파 이주홍이 부산의 문학과 예술에 끼친 영향은 넓고도 깊다. 특히 서울과 부산 문인들의 가교 역할을 하면서 1967년 ‘문학시대’라는 잡지를 창간해 박목월, 정비석 등의 작품들을 싣기도 했고, 기라성같은 문인들을 초청해 문학 강연, 육필전 등을 열기도 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향파가 아동문학가로 불린 것은 1958년 부산아동문학회 창립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향파 이주홍은 아동문학·소설·시·희곡·시나리오·수필·야담 등 방대한 작품 창작과 저술 활동을 하며 많은 문학적 자산을 남겼다.

2002년 제자들은 이주홍문학재단을 설립해 1971년부터 작고할 때까지 살았던 온천동의 집을 구입, 개축해 2004년 이주홍문학관을 열었다. 문학관이 재개발로 철거되면서 지난 2017년 현재의 장소(동래구 금강로61번길 20-12)에 신축 이전했다. 이주홍문학관은 전방위 예술인이었던 향파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1만여 권이 넘는 장서 목록뿐만 아니라 직접 표지화를 그린 옛 잡지는 우리나라 문학 출판계가 걸어온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주홍문학관은 매년 이주홍문학축전, 이주홍문학상, 이주홍문학기행, 이주홍학생백일장 등의 행사를 기획, 운영하고 있다. 서적과 유품 1만여 점과 함께 전국의 문인들과 교류하며 주고받은 편지, 희귀 문학잡지 등이 보관된 우리나라 근·현대문학의 산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한편 경남 합천에는 이주홍어린이문학관이 건립됐다. 같은 작가의 문학관이 두 군데 이상 건립된 사례가 국내에서 흔한 일은 아니다. 박경리, 한용운, 조정래, 유치환, 최명희의 문학관이 작가의 고향, 작품 활동을 한 곳, 작품 배경지 등을 명분으로 건립됐다. 부산 온천장의 이주홍문학관이 작가가 작품 활동을 한 곳이라는 데 의미를 두고 지어진 공간이라면, 합천의 이주홍어린이문학관은 작가의 고향이라는 점에 방점을 두면서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김성종 추리문학관 전경.


■ 우리나라 최초의 김성종 추리문학관
‘한국추리문학의 거장’으로 불리는 추리소설가 김성종이 사재를 털어 1992년 해운대 달맞이 언덕에 한국 최초의 추리문학관을 설립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달맞이길117번 나길 111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추리문학 전문도서관이자 김성종 추리문학관이 그곳이다.

우리나라 추리문학의 대가인 김성종이 문화공간의 확보와 추리문학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1992년 3월 22일에 개관했다. 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로 1층은 카페식 열람실로 탐정의 대명사인 셜록 홈즈의 이름을 따 ‘셜록 홈스의 집’으로 이름을 붙였다. 독서와 함께 차를 마시면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다. 

2·3층은 일반열람실로 구성돼 있는데, 2층의 ‘셜록 홈스의 방’의 책상 위에는 트레이드마크인 사냥 모자와 파이프, 피규어 등이 놓여 있고, 그 뒤쪽엔 추리소설 원서들이 수북하다. 2층은 주로 문학관에서 주최하는 강연이나 문화행사 장소, 열람실로 이용된다. 

3층에 들어서면 대형 창을 통해 펼쳐진 망망대해와 수평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서가엔 추리소설을 비롯한 다양한 책들이 빽빽하게 꽂혀 있다. 관람객들은 개가식 서가에서 차 한 잔과 함께 달맞이고개와 청사포 앞바다의 아름다운 풍경을 바라다보며 마음껏 책을 읽을 수 있다. 지하에는 칠을 하지 않은 시멘트 천장과 바닥이 그대로 드러나 거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장소다. 추리문학과 관련된 연극 등을 하는 곳이라고 설명한다. 추리문학관에서는 추리소설 창작교실과 영화살롱, 독서마당 등도 열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문학관의 소장 도서 4만 8000여 권 중에서 추리소설이 1만 7000권 가량 된다고 한다. 1층부터 5층까지 연결된 계단도 방문객의 눈길을 끈다. 또한, 문학관에서는 ‘안네의 일기 The Diary of a Young Girl Anne Frank’의 작가 안네 프랑크(Anne Frank), 도스토옙스키, 시몬드 보부아르, 에밀 졸라 등 세계문학사에 빛나는 113명의 세계유명작가사진전을 이벤트로 상시 개최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